본문 바로가기

게시판/활동소식

신문 불법 경품 공동신고센터 발족식 기자회견

  
6월 4일(수) 오전 11시 프레스센터 7층 레이첼카슨룸에서 신문고시 폐지 반대 서명결과 발표 및 신문 불법 경품 공동신고센터 발족식을 진행하였다.
 
지 난 4월 13일 백용호 공정거래위원장이 신문고시 전면 재검토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신문고시는 신문 가격의 20% 이내로 경품 및 무가지를 허용하는 제도로 신문시장의 정상화와 공정거래를 위한 법이다. 이를 폐지할 경우 거대 언론사가 무가지와 경품의 무차별한 살포하여 지역언론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며  여론의 다양성이 훼손될 것이다.
 
이에 언론개혁시민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전국), 언론인권센터, 한국기자협회, 전국신문판매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이 공동으로 전국 10개 지역에56개의 신문 불법경품 신고센터를 설치했다. 센터는 불법 경품, 무가지 등을 신고하려는 독자들에게 상담과 대리신청, 현장 출동 후 자료 확보 등을 할 계획이다.
 
 
<미디어 오늘에 보도된 내용입니다.>
 

전국 10개 지역에 56개 신문 불법경품 신고센터 발족
"신문사 공동 광고 등 대국민 홍보 강화…감시단도 만들 것”
2008년 06월 04일 (수) 15:12:46

안경숙 기자 (ksan@mediatoday.co.kr)


신 문 시장에서 불법 경품을 추방하기 위한 공동신고센터가 서울을 비롯해 경남, 대구·경북 등 전국 10개 지역 56곳에 설치됐다.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등 6개 언론시민사회단체는 4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신문 불법경품 공동신고센터’ 발족식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2003년 공정위가 신문시장 불법 경품을 직접 규제할 수 있도록 신문고시를 개정한 이유는 허울뿐인 ‘자율규제’로는 신문시장을 정상화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며 “부자 신문들의 경품 규모는 점점 늘어나 무가지와 경품의 규모가 1년치 신문 구독료와 맞먹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불법경품을 살포할 수 있는 부자 신문들에 의해 시장의 룰이 파괴되고 여론시장의 독과점이 심화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며 “신문고시 무력화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부자 신문들과 이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신문협회, 그리고 일부 세력들의 신문고시 무력화 시도에 맞장구치고 있는 공정위의 행태에 맞서 신문시장 감시에 직접 나서고자 한다”고 천명했다.
 
신고센터는 4일 현재 서울, 제주, 부산, 경남, 대구·경북, 전북, 충북, 대전·충남, 강원, 경기 등 전국 10개 지역의 민언련과 언론노조 지부, 민주노총 지역본부 등 56곳에 설치된 상태다.
불법경품을 받은 사람은 각 지역 신고센터에 이를 신고하면 되는데, 지역별 대표센터가 작성한 신고서류를 서울 민언련이 취합해 공정위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신고센터가 운영될 예정이다.
 
김 순기 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불법경품 신고 외에 신문고시 폐지 반대 서명운동에 참여한 신문사들이 매달 두 차례 불법경품과 포상금 제도를 알리는 광고를 게재하고, 홈페이지에도 신고센터 배너를 달아 국민들을 상대로 적극 홍보에 나설 예정”이라며 “지역별로 10명 내외의 신문시장 감시단을 만들어 아파트단지, 대형마트 등 불법경품이 집중적으로 뿌려지는 지역에 홍보와 감시 활동을 능동적으로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지난 4월 백용호 공정거래위원장이 신문고시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히자 불법경품을 제공해 온 조선 중앙 동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들은 신문고시가 오히려 강화돼야 한다는 입장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신문사 대표이사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벌이는 한편 신문고시를 통해 신문시장을 정상화하고 신문의 신뢰도를 회복해야 한다며 전국 단위의 불법 경품 공동신고센터 설립을 추진해 왔다.
 
1차 서명운동 결과 4일 현재 강원도민일보 등 21개사 대표이사와 26개 신문사의 종사자 등 모두 2천634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단체는 조만간 1차 서명결과를 공정위와 국회, 청와대 등에 전달하는 한편 2차 서명운동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불·탈법 경품을 없애는 것이 전체 언론노종자의 처우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며 “구호로 외쳐온 신문시장 정상화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이 과정에서 반드시 성과를 내도록 언론노조의 이름을 걸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료 첨부 합니다.

2008060400177099.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