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민언련 입장/지역신문 모니터

경기지역 일간지 총선보도 모니터 - 4월 4~12일

경기지역 일간지 총선보도 모니터 - 4월 4~12일



1. 기간
- 4월 4(월)~4월 12일(화)


2. 모니터 대상
- 경기일보, 경인일보


3. 모니터 의견
- 이번 선거는 야권의 분열에서 시작해서 선거구 획정안 지연과 여야의 공천 과정의 잡음 등의 많은 이슈가 있었다. 그래서 인지 그동안 각 당의 정책에 대한 보도나 후보들의 구체적인 공약과 이에 대한 분석은 언론을 통해 찾아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선거 1주일 전인 지난 주부터 시작해서 각 당의 정책과 후보들의 공약 등에 보도가 되었다.


후보들의 공약(空約)에 대한 비판
 경기일보와 경인일보는 20대 총선 후보들의 공약을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다. 먼저 4월 5일 경기일보 1면 탑으로 게재된 기사 <그 약속, 지킬 수 있나요>의 경우 예산 문제는 생각하지 않은 공약 남발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기사는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전한다.

“선출직공직자들이 선거공약을 제시할 시 수반되는 예산을 함께 제출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66조의 개정이 시급해 보인다”며 “그래야만 당선 이후에 나몰라라하는 지금의 정치문화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4월 5일자 1면 탑기사 <그 약속, 지킬 수 있나요> 중

또한 경기일보의 <붙고보자… 또 空約풍년>의 경우도 총선 후보의 개발 공약의 문제를 지적하며, 실현 가능성은 생각하지 않은 무책임한 공약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경인일보 역시 마찬가지였다. 경인일보는 4월 7일자 1면 탑 기사 <4.13 총선 공약 점검. 1 公約, 空約 ‘판단할 근거가 없다’>를 통해 구체적 시기 방법이 없거나 구호에 그친 공약이 많다는 문제를 지적하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계획들을 공개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주장을 했다. 또한 이어진 <4.13 총선 공약 점검 2~4>의 기획을 통해 후보들의 공약의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② 44명중 32명이 총 70개 비용·시간 변수 너무 커>, <③ 후보 44명중 15명이 입법 공약 없거나 '갈대 공약'>, <④ 인구 많은 신도시·아파트 주목… 구도심 등 '상대적 박탈감'>


이전투구 선거판
두 언론사는 선거를 앞둔 1주일 동안 공약에 대한 점검과 유세 소식 이외에도 후보들 간의 헐뜯기 경쟁을 다루고 있다. 먼저 경인일보는 4월 8일 자 1면 탑 기사로 <뭘 잘했다고 '헐~ 뜯기' 바쁘다>를 다루며, 유권자의 정치혐오를 불러오는 정치권의 행태를 비판하고 있다. 이 기사는 마지막에 정영태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기사를 마무리 한다.

"네거티브 선거전에 가려 후보가 내놓은 공약의 재원 마련 방안, 조세부담 등 가장 중요한 토론과 검증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결국 손해를 보는 것은 유권자들이므로, 유권자 스스로 네거티브 공방이 아닌 후보의 정책·공약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경기일보는 4월 7일 경기일보 인천판 1면에 게재된 <상대후보 헐뜯기 ‘도 넘은’ 선거공보물>을 통해 혼탁한 선거유세를 비판하고 있다.
 
눈에 띄는 기획
경기일보에서 진행된 기획 <인천 유권자가 제안하는 ‘20대 총선공약’>은 총 7회에 걸쳐 연재됐다. 3월 23일 자 <1. 누리과정 정상화와 보육 공공성 강화>으로 시작해서 <2. 수도권 규제완화>, <3. 일자리 창출>, <4. 여성평등과 안전>, <5. 시민·사회의 목소리>, <6. 교육분야>, 4월 11일 자 <7. 지방자치·재정분권>까지 인천 지역 유권자의 요구와 목소리를 담기 위한 노력이 돋보였다.


이번 20대 총선 모니터를 이번 차순을 끝으로 마치게 된다. 매번 선거와 총선을 통해 보도되는 기사들, 그리고 문제점들.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그 모습을 변함이 없다. 선정적인 경주식 보도는 계속 이어졌고, 후보자의 자질과 공약에 대한 평가와 정책 의제 중심의 보도는 많지 않았다. 또한 소수정당의 목소리나 시민사회단체의 움직임도 기사를 통해 찾기 힘들었다. 두 언론사는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칼럼과 사설 등을 통해 유권자의 올바른 판단과 투표를 독려했다. 하지만 유권자의 올바른 판단을 위해 바른 정보를 제공해야할 곳은 다름 아닌 자신들이라는 사실을 유념해주기 바란다.

매번 되풀이 되는 지키기 힘든 선심성 공약의 문제. 흑색선전의 문제 등 선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도 결국 언론의 팬에 달렸다. 이제 선거는 끝이 났다. 20대 국회의 임기가 시작한 이후 공약과 정책에 대한 감시,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는 지에 대한 감시, 이는 결국 시민과 언론의 몫으로 남는다.  참다운 민주주의가 작동하기 위해 제대로 된 감시와 비판을 진행하는 참다운 언론을 바란다.


2016년 4월 14일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4.4~12.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