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민언련 입장/성명서/논평

국정원 해킹 문제 중계보도에 그친 경기 지역 언론


지난 23일 국정원 사찰에 대한 수원 지역 시민사회단체의 시국선언이 있었다. 7월 10일 보도 이후 이어진 국정원 해킹과 민간인 사찰에 대한 논란은 각종 언론 매체와 SNS를 통해 확산되었고, 여전히 그 논란은 줄지 않고 있다.

경기민언련은 7월 16일자 논평(국정원 해킹 문제 외면하는 경기지역 신문)을 통해 경기지역 일간지에서 국정원 해킹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보도 행태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후 지속적인 여야의 정치적 공방과 각종 의혹들, 그리고 국정원 직원의 자살에 이르기까지 국정원 해킹 의혹에 대한 뉴스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이에 경기민언련에서는 10일부터 24일까지의 경기지역 언론(경기방송, OBS, 경기일보, 경기신문, 경인일보)의 보도를 살펴보았다.

<표 1>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최초 국정원 해킹 사건에 대한 보도 건수가 그렇게 많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탈리아 업체 ‘해킹팀’이 고객 자료 유출을 공식 인정한 7월 9일부터 이어진 의혹과 논란의 시기인 10~14일까지의 기사는 없었다. 이후 14일 국정원에서 해킹의혹에 대한 공식 해명(OBS 보도 : 국정원장 스마트폰 도청, 국민대상 아니다 / 10번째 꼭지)이 있었다. 그럼에도 논란은 사라지지 않았고, 위키리스크에서 공개한 국정원의 민간인 해킹 내용(7월 16일) 등으로 파문은 더욱 커졌다. 야권에서도 진상 조사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때 각 언론사는 <표 2>에서 보이듯이 국정원 해킹 의혹에 대한 보도가 아닌 정치권의 의견을 중심으로 보도 했다.

18일 국정원 직원의 자살 사건이 있었다. 이후 보도의 전체적인 수는 늘어난다.

그러나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기사는 정치권의 공방과 자살한 국정원 직원에 대한 보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기사의 내용 역시 정치면 또는 사회면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OBS 방송(뉴스 M)에서도 18일(국정원 직원 자살일) 이후에나 1~5번째 순서로 보도하며 중요 뉴스로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경기방송(6시 뉴스)은 인터넷 상으로 뉴스전체보기가 되지 않아 뉴스 순서는 확인할 수 없었음).

 국정원을 포함해 세계 각국에 도‧감청 해킹 프로그램을 판매해온 이탈리아 업체 ‘해킹팀’이 고객 명단 등 상세한 자사 자료의 유출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7월 9일이다. 이미 6일부터 400기가바이트에 달하는 해당 자료가 ‘비트토렌트’라는 개인 간 공유 프로그램에 올라와 있었다. 이 자료에는 국정원이 ‘육군 5163부대’라는 이름으로 2012년부터 올해까지 6차례에 걸쳐 총 70만 1400유로(약 8억 8000만원)를 ‘해킹팀’에 지출한 자세한 내역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위키리스크를 통해 공개된 개인 사찰과 도감청의 의혹도 제기 됐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한 사안에 대한 보도는 경기지역 언론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10~24일 각 언론사의 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정치권의 공방과 한 국정원 직원의 자살 문제 뿐이었다. 이들 언론사의 기사만을 읽는다고 한다면 의혹도 논란도 없던 일에 대해 갑자기 국정원에서 해명을 한 것이고, 야당은 쓸데없이 딴지를 걸고 있던 것에 불과했다. 그 외의 몇 가지 의혹과 의문 역시 마찬가지였다. 의혹과 의문은 언급 없이 경찰 혹은 국정원의 해명만을 보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확한 것은 이 사건의 본질이 국정원 해킹의 의혹과 문제, 그리고 위키리스크 등을 통해 제기된 민간인 해킹 의혹 등이라는 사실이다. 이번 사건의 보도에서는 이것이 사라졌다.

본질은 사라지고 공방만 남은 보도. 언론의 사명이 무엇일지 다시 한번 생각해볼 지점이 아닐까 한다.